- 폐렴이 왜 위험한가?
폐렴은 모든 연령에서 중등도에서 중증의 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는 폐의 감염으로,
한국인의 전체 사망 원인 중 4위,
호흡기 질환 사망 원인 1위를 차지하는 질환이다.(2016년 기준)
- 성인의 지역사회획득성 폐렴의 가장 주요 원인은 폐렴구균 감염이며,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다.
. 호흡곤란
. 발열과 오한
. 기침
. 가슴 통증
- 호흡기 질환이 있으면 폐렴구균 폐렴에 더 잘 걸릴까?
만성폐쇄성폐질환(COPD)과 같은 만성폐질환 환자나 천식 환자는 건강한 성인에 비해 폐렴구균 폐렴에 걸릴 위험이 높다.
. 만성폐질환 환자 : 7.7 ~ 9.8배
. 천식 환자 : 3.7 ~ 5.9배
- 호흡기 질환자가 폐렴구균 폐렴에 걸리면 더 위험한가?
. 호흡기 질환자는 폐렴구균 폐렴으로 인한 입원 위험도 높아진다.
. 호흡기 질환자가 폐렴에 걸릴 경우, 기존 건강 상태의 악화를 경험할 수 있다.
: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의 42.3%에서 악화를 경험.
: 천식 환자의 22%에서 악화를 경험.
- 폐렴구균 폐렴은 어떻게 예방할 수 있을까?
. 대한감염학회는 만성폐질환 환자에게 폐렴구균 백신 접종을 우선 권고한다.
. 미국, 독일에서도 위험군 및 고령의 건강한 성인에게 폐렴구균 백신을 필수로 접종하고 있다.
- 폐렴구균 백신은 언제 어떻게 접종하면 될까?
. 폐렴구균 백신은 폐렴구균 '단백접합백신' 과 '다당질백신' 두 가기 종류가 있다.
1. 18~64세 만성질환자 : 단백접합백신 우선 접종
2. 65세 이상 만성질환자 : 두 가지 폐렴구균 백신을 각 1회씩 적합한 접종 간격에 따라 모두 접종하는 것을 권고 한다.
3. 65세 이상 건강한 성인 : '단백접합백신 접종' 또는 '다당질백신 접종'
- 만성폐질환 환자에게 우선 접종이 권고 되는 폐렴구균 백신으로 폐렴구균 폐렴을 예방하자.